경기도는 저출산 문제 해결과 결혼 독려를 위해 19~39세 이하의 신혼부부 2,650쌍에게 1인당 100만 원씩, 2인 기준 총 200만 원을 지원하는 ‘결혼장려금’ 정책을 시행합니다. 이는 2025년 하반기부터 신청 접수를 시작하며, 도내 결혼 및 혼인신고를 완료한 부부가 대상입니다.
🎯 지원 대상 및 규모
지원 대상은 경기도 거주 19~39세의 신혼부부로, 2025년 7월부터 신청이 가능하며, 선착순 2,650쌍을 대상으로 합니다. 1인당 100만 원씩 지급되어 2인 기준 최대 200만 원의 혜택이 제공됩니다 :
📝 신청 기간 및 방법
신청 기간은 2025년 7월부터이며, 경기도청 및 시·군청 혼인신고 시스템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. 온라인 신청 시 ‘경기도 혼인장려금’ 메뉴에서 주민등록번호 및 혼인신고서 사본을 제출하면 되고, 오프라인 신청은 각 시·군청 출생·혼인 담당 부서에 방문하면 됩니다.
💡 유의사항
① 신청은 혼인신고 후 6개월 이내에 해야 하며,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.
② 지원금은 부부 계좌로 일괄 송금되며, 소득 및 재산 기준 제한없이 지원됩니다.
③ 중복 수혜가 불가하므로 타 지역이나 중앙정부의 유사 지원금을 이미 수령한 경우 제외됩니다.
항목 | 내용 |
---|---|
대상 | 경기도 거주, 19~39세 신혼부부 |
지원액 | 1인당 100만 원(부부 최대 200만 원) |
모집규모 | 2,650쌍(선착순) |
신청 기간 | 2025년 7월 ~ 예산 소진 시 |
신청 방법 | 온라인(시·군청 웹사이트) / 오프라인 방문 신청 |
주의 사항 | 중복지원 불가, 혼인신고 후 6개월 내 신청 |
📌 정책 배경 및 기대 효과
경기도는 최근 서울시의 1백만 원 결혼장려금 정책에 이어 재정적 부담이 큰 결혼 준비 비용의 완화를 목적으로 합니다
이는 단발성 지원이 아닌 생활비 보조책으로 수요자 부담 경감에 중점을 뒀습니다.
🗣️ 이용자 시선
한 예비 부부는 Reddit에서 “1백만 원은 결혼비용 일부만 보태지만, 상징적으로 의미 있다”고 언급했습니다
다만 “전반적인 결혼·육아 비용과 비교하면 소액”이라는 평가도 있었습니다.
📍 신청 팁 & 문의 안내
① 예산 소진이 빠를 수 있으니, 혼인신고 직후 신청 추천
② 필요 서류: 신분증, 혼인신고서 사본, 거주확인 서류
③ 자세한 문의는 경기도 콜센터(120) 또는 시·군청에 문의하세요.